9.25.2015

Passion For Sport: Surf

Dreams, freedom, passion. But also fear and boundaries to break. This is the essence of surfing, in the adrenalin-ridden world of Malia Ward. "As individuals, we set our own limits in life in what we do", she explains, "but when we dream limits become an illusion. Surfing has taught me to push limits I made to stay safe, but staying safe never gave me the freedom that pushing my boundaries did. Surfing is my main dream and I am continuously pushing with I can accomplish and experience".
This time, "Moncler Passion For Sport" makes you dive headfirst into the magic and the excitement of surfing. Our guide is 17-year-old Malia Ward from San Clemete(California), who in this sport found that special place where her dreams and reality collide, making her "comfortable, determined and focused in the water like there is no place I could belong more to". Malia simply couldn't live without surfing: it's, at the same time, what pushes her to break her boundaries and a boundary itself... something she explains saying: "When I am surfing I feel free but at the same time I am bound. Bound by my sport, my passion, my obsession".
Watch the video and feel the excitement of extreme freedom as a form of art, with Moncler.
Moncler

9.21.2015

미쳐있어 나

G. Soul

Dirty

1. Dirty
2. Dirty
3. 미쳐있어 나
4. Till I Die
5. Stop The Love

G. Soul이 두 번째 미니앨범 'Dirty'로 돌아온다.
G. Soul은 이번 앨범을 통해 하우스 뮤직에 재즈, 소울을 결합한 Deep House 장르를 시도했다.
'Dirty에는 타이틀곡 '미쳐있어 나'와 'Till I Die', 'Stop The Love'등 총 다섯 곡이 수록돼 있다. G. Soul은 앞서 발표한 앨범 'Coming Home'과 'Love Me Again'에 이어 이번에도 전곡 작사, 작곡에 참여했다.
타이틀곡 '미쳐있어 나'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푹 빠져 단 1분 1초도 생각을 지울 수 없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Deep House 장르의 매력이 잘 드러나는 곡으로, G. Soul이 직접 쓴 로맨틱한 가사 또한 인상적이다.
네 번째 트랙인 'Till I Die'는 '미쳐있어 나'의 감정선을 이어 받아, 내 영혼이 날 떠나갈 때까지 너를 사랑하겠다는 마음을 담았다. 마지막 트랙인 'Stop The Love'에서는 아닌 줄 알면서도 멈추지 못하는 사랑의 감정에 대해 노래한다.
G. Soul은 발표하는 모든 앨범을 자작곡으로 채우며, 음악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뮤지션으로 자리잡고 있다.
- JYP Entertainment

9.20.2015

Psychopsis Kalihi

The Pool Aoyama X Yoichiro Uchida

'헬조선'의 정치적 무의식

'헬조선' 현상에 대한 최근 경향신문의 커버스토리 기사는 이 단어의 발생과 용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경향신문과 데이터 컨설팅 기업 '아르스 프락시아'가 함께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헬조선’ 현상은 취업난에 고통을 받는 청년들의 넋두리만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대한민국이 더 이상 사회로서 기능하지 못하고 있음을 선언하는 것이다. 특히 청년세대를 직접 취재해 '헬조선'이 희망 없는 교육, 국가의 무능과 미개한 통치성, 기업의 노동착취와 연고주의의 극단을 대변하는 일종의 '절망의 수사학'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경향신문의 커버스토리는 '트위터'나 '일베'처럼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입장이 다른 SNS 공간에서도 헬조선은 미개하고 지옥 같은 곳으로 생각하고 있고, 하루빨리 헬조선을 '탈출'하고 싶다는 견해도 동일하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헬조선의 용법이 유행하게 된 배경에는 청년실업 문제가 도사리고 있다는 점도 주시하고 있다.
경향신문의 커버스토리는 헬조선이 특정한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편향을 드러내는 집단들이 유포한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 그것은 단지 일베의 혐오 수사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헬조선은 한 사회가 작동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시스템과 그 시스템을 유지하는 정의와 윤리의 감정이 붕괴되고 있음을 청년세대의 입을 통해 경고한 근본적인 사회 체제 위기의 담론이다.
헬조선으로 대변되는 청년들의 총체적 분노와 "죽창 앞에선 모두가 평등하다"는 헬조선닷컴의 메인 페이지의 살벌한 슬로건만 보면, 조만간 대한민국에 동학혁명과 같은 민중봉기가 일어날 듯한 전조를 느끼게 해준다. 그러나 헬조선의 담론장은 의외로 평화롭다. 지금 여기, 지옥 같은 헬조선의 세상을 갈아엎겠다는 봉기의 분위기보다는 오히려 그 재난의 사태를 관망하고 즐기는 분위기가 더하다. 헬조선의 절망과 분노의 글들은 매우 직설적이고 노골적으로 세상을 비난하지만, 그 비난은 비난에 불과할 뿐, 세상을 바꾸려는 직접 행동과는 거리가 멀다. 
심지어 헬조선의 분노는 정치적으로 이완되고, 이데올로기적으로 봉합되어 이들 주체의 입장조차 무엇이 정치적 비판이고, 무엇이 탈정치적 냉소인지 구분되지 않는다. 역설적이게도 '헬조선'이란 작금의 세상을 뒤엎으려는 직접행동을 지연시키거나 해소시키기 위한 조작된 공론장 같아 보인다. 범용화된 현상으로서, 혹은 유포된 담론으로서 헬조선은 헬조선이라는 실재를 기각하고, 오히려 그 체제를 재생산하는 구성적 요소로 작동한다. 
헬조선에 대한 경향신문의 커버스토리가 아쉬웠던 것은 온라인에 기반한 객관적인 데이터 분석에 치우친 감이 없지 않아, 단어들의 표층적 연결고리의 분석을 넘어서 단어 사이의 심층의 무의식을 해석하지 못했다는 데 있다. 1970년대 영국에서도 썩어 문드러진 영국 사회에 대한 청년계급들의 분노와 조롱의 문화가 있었다. 이름하여 '펑크문화'이다. 펑크족들은 자신들에게 실업과 절망만을 안겨준 국가를 향해 무정부주의를 외쳤다. 펑크족은 부모세대들을 저주하고자 부모들이 가장 싫어하는 나치의 십자상을 패용하고 다녔다. 이들의 인종차별적 행동은 정치적 신념이 아니라 오로지 부모세대들이 자신들을 미워해주길 바라서였다. 펑크의 저항 스타일은 동시대 사회에서 버림받은 청년들로부터 큰 지지를 얻었지만, 얼마 가지 않아 지배 이데올로기로 흡수되고, 상품 형식으로 변질되었다. 국가는 이들의 분노를 오히려 굳건한 국가 지배체제를 세우기 위한 교훈으로 삼았고, 패션 기업들은 펑크의 저항 형식들을 고가의 상품으로 전환시켜 버렸다. 
흥미로운 것은 지금 헬조선의 현상도 그런 모습으로 이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헬조선닷컴의 사이트를 들어가 보면 삼성생명, 한화건설, 유학닷컴, 잡코리아 광고가 기사와 함께 연동되어 있다. 헬조선이 비난하는 대기업, 유학지상주의, 취업만능주의의 당사자들이 헬조선을 구성하는 글과 함께 공존하고 있다. 헬조선의 담론들은 펑크 문화에 대해 어느 영국의 문화연구자가 예리하게 분석했듯이, 동시대 사회의 모순들을 마술적으로 해소하려는 수사학에 불과하다.
정치적 무의식은 사회의 모순들을 텍스트 안에서 마술적으로 해소하려는 것이라기보다는 그 모순의 심층을 사회의 표면 밖으로 끄집어내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헬조선의 정치적 무의식은 사회 모순을 표상하는 텍스트 안에서만 기거하길 원한다. 그럴 경우 무의식은 대체되고 응축만 될 뿐 폭발하지 못한다. 지금 헬조선의 정치적 무의식은 불만의 도상, 분노의 기표만을 생산한다. 
담론과 현상으로서 '헬조선'이 아닌, 정말로 지옥 같은 '헬조선'에 대한 정치적 무의식은 '헬조선'의 텍스트 밖으로 나와 폭발해야 하지 않을까?
- 이동연, 경향신문 오피니언 中

9.14.2015

Supreme X David Sims

Supreme have worked with photographer David Sims on an exclusive project documenting their team riders Tyshawn Jones, Sage Elsesser, Sean Pablo and Aidan Mackey, and will be releasing this as a hardcover book. Shot in New York, the images take in a range of set-ups, both on location and in the studio, steering away from typical skate photography to offer a unique take on American youth.
David Sims was central to an insurgent moment in fashion photography in the early nineties. Alongside Juergen Teller, Corinne Day and Wolfgang Tillmans, he helped define a new soulfulness in fashion imagery. Stripping back the glamour and luxury of the supermodel era, through their filter, photography began to shift towards a renewed honesty with direct and raw images.
Sims became an influential voice in fashion working on campaigns and projects with Raf Simons, Calvin Klein, Helmut Lang, Prada and Yohji Yamamoto. His editorial work saw him deliver seminal magazine covers capturing two icons who shaped the nineties, with Kurt Cobain in The Face (September 1993), and Kate Moss for i-D (February 1996.
Moving away from his minimal earlier style, recently his work for Arena Homme+ magazine has taken on a more nebulous palette, enriching this with a lo-fi approach which further adds to his powerful ongoing vision.